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집트의 예술 - 공예, 조각, 고대 미술, 회화에 대하여

by 엘리1023 2023. 1. 5.
반응형

이집트의 예술 무덤 벽화

이집트의 예술은 우리가 현대 예술이라고 부르는 것이 아니다. 신전은 <신의 영원한 집>이고, 회화는 현실 세계를 표현하는 도구이며, 조각은 신이나 인간의 영혼이 거처하는 곳이다. 이런 의미에서 고대 이집트의 예술은 효과적인 목적을 가진다. 신이 정해주신 법이 있는 한 그곳에는 엄격하고 확실한 형태가 자리 잡고 있으며, 예술가의 개성은 한참 뒤떨어져 있다. 이집트의 미술이 특정 스타일을 고집하고 작가의 이름이 표시되지 않는 이유다. 고대 이집트 예술의 신 Ptah는 원래 창조의 신이었다. 이 신이 창조한 질서는 모든 예술에 공통적이었고, 이 법칙은 건축, 회화, 조각의 뿌리에서 흐르고 있었으며, 특히 조형예술은 우주 만물과 조화를 이루어야 했다. 고대 이집트에서 예술 활동의 역사는 모두 왕의 보호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예술 활동의 역사는 왕조의 흥망성쇠의 역사와 동일하다. 예술 제작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왕을 섬기는 관리들이었다.

이집트의 공예

일반적으로 이집트의 토기는 볼품없는 제품이며 품질은 이집트 상층부에 한정되어 있다. 선대에는 흑정토기, 채문토기, 적마와 흑마가 그려진 토기 등이 눈에 띄었으며, 초기부터 녹로가 사용되었다. 왕조시대에는 기술이 정체되고 패턴이 단순하거나 소멸되었으며 주인공은 파이안스에게 넘어갔다. 용기 외에도 인물이나 동물과 비슷한 조형물도 있다. 토기를 연마하는 방법은 기원전 사세기경에 시작되었다. 무기·장비·용기·건축부품·가구·장식품 외에도 제육왕조 페피 일세의 주상과 같이 조형물도 규모가 컸으며, 후기 납형 기법이 잘 만들어져 매우 발달했다. 제동 과정은 무덤방 벽화에서 가끔 볼 수 있다. 강철 기술은 기원전 천년경에 도입되었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 이집트에서는 보석의 대체재로 유리공예가 발달되어 투명한 유리는 인기가 없었고, 청색, 적색, 황색, 녹색 등은 모두 색유리가 선호되었다. 원료는 모두 이집트의 석영과 천연소다로 이미 선대부터 만들어져 신대부터 크게 발전했다. 소형 제품이 많고 일부는 파상문이 있는 샌드코아로 만든 향수병이 특징이라 수출하기도 한다. 이후 파테 뒤 바 제품도 등장했다.

이집트의 조각

이집트 조각가는 '생명의 모델 메이커'로 불리며 이들의 임무는 영원한 생명을 주기 위한 가설을 성실히 조각하는 일이었다. 조각의 종류는 무덤에 안치하거나 사찰에 안치하는 신불상, 왕상, 개별상, 풍속상, 동물상 등이 있으며, 크기가 이십미터가 넘는 조각도 있고 몇 센티미터 크기의 작은 조각도 있었으며 돌, 금속, 나무, 상아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였다. 역사적으로 선대에는 사람과 동물상 등 토기와 상아 조각상이 있었지만 유치했다. 그러나 편암, 석회암, 화강암과 같은 조각품들이 등장했고, 이집트 조각들의 고고학적 모델은 이미 구축되었다. 고대 왕국 시대는 조각 사상의 고전적인 시기가 되었고, 이집트 양식을 이루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제사왕조의 카프라왕의 섬암상, 라 호테프의 불상, 카이퍼의 목조상, 페피 일세의 동상 등이 있다. 나무와 석회암 조각상들은 색깔이 있다. 형태는 입상, 좌상, 입상 등이 있으며, 개인의 단신 외에도 부부와 가족 단위의 조각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왕상은 신전에 안치되었고, 일반인의 모습은 무덤의 세르다브에 모셔진 '카상'이었다. 전체적으로 현실적인 기법으로 시작해 일종의 이상화에 성공한 멤피스가 전성기를 맞았다. 여기에 중세시대 테베의 리얼리즘이 가미되어 특히 인물의 개성을 표현한 것이 특징이며 대표작은 십 이왕조의 초상화이다. 신왕국 시대의 분위기는 본래 십왕조에 상당히 이상화되어 우아함을 더했지만, 다소 가시적이었다. 그러나 새로운 형태의 조각상과 석비가 등장했고, 중왕국 시대에 조각상을 본 안베이크가 더욱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십왕조 이후 왕의 위대함은 커졌지만, 대개 조잡함, 격식, 복종에 빠져들었다. 그 사이에서 이크나톤과 네페르타이트 조각상으로 절정을 이루는 아마르나식 자연주의는 독특한 존재이다. 목공에는 시골의 삼나무, 남부 흑단나무, 레바논의 삼나무가 사용되었다. 왕조 후기에는 이십오 왕조의 리얼리즘의 부흥과 이십육왕조의 구왕국 양식을 따르는 복고운동이 일어났으며, 주요 인물들의 작은 조각상들이 성행하였고, 목석과 석재는 차 쇠락하였다. 구체적인 인물이 아닌 풍속으로 보면, 구왕국 시대에는 석공과 하인들의 동상이 있었으나, 중왕국 이후에는 다양한 삶의 영역을 표현하는 채색된 목단이 발달하였다.

이집트의 회화

이집트의 화가들의 임무는 사물의 형태, 특징, 성질을 묘사하는 것이었고, 그래서 회화는 신이 정한 질서를 지켜야 했다. 현재 존재하는 자료는 대부분 무덤 속 벽화로 사자의 영생을 위해 무덤방에 세상을 재현하려는 의도였다. 도움도 마찬가지다. 이집트 회화의 특징은 원근감이 부족하고 사물을 묘사할 때 측면과 정면이 혼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인체에서는 머리가 항상 옆이고, 어깨와 몸이 앞이고, 허리의 아랫부분이 다시 옆이 되는데, 얼굴의 정면도는 질서에서 벗어났다. 초기 왕조의 무덤에는 화려한 기하학적 무늬만 있고 기하학적인 그림은 볼 수 없다. 그러나, 고대 왕국 시대에, "마이둠의 오리" 가 나타났다. 전례가 없는 이유는 아마도 진흙 연벽이 쉽게 훼손되고 작품 대부분이 사라졌기 때문일 것이다. 부조 스케치에는 볼 것이 있었다. 중왕국 시대의 그림은 그림이 발달하지는 않았지만 베니하산 바위굴 벽화에서 볼 수 있듯이 화려했다. 십팔왕조인 신왕국 시대는 황금시기였다. 전반부에는 토템스 삼세까지 전통적인 아케이드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 후반부에는 감각적인 선과 절묘한 색채로 완성도에 도달했다. 낙트와 메나의 무덤에 있는 벽화들은 이집트 회화의 전성기를 보여주는 훌륭한 예이다. 아마르나 양식은 조각만큼 영향을 주지 않았다. 십 구왕조에는 기법에 치우쳤고, 이 십왕조 이후에는 점차 회화 활동이 정체되어 파피루스 문서 삽화에 전통만 남게 되었다. 동물들은 기본적으로 측면으로 그렸다. 이러한 형태는 왕조 문화의 창조와 동시에 결정된 것이다. 벽화는 진흙 연벽이나 암벽에 정제된 점토나 석고 모르타르 위에 그려졌다. 이집트 회화사의 흥망성쇠는 정치적 발전 역사와 일치한다. 선대에는 암각화와 토기 표면의 장식이 있었으며, 후기 히에라콘폴리스 벽화에서는 권력가의 인물상 표현에서 이집트 양식의 기초를 알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