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의 예술 - 시대별 미술에 대하여

by 엘리1023 2022. 12. 21.
반응형

한국의 예술

한국의 예술 중에서 미술은 한국의 인근 지역에서 시작되었다. 산수화, 불교회화, 고분벽화, 문인화 등과 같은 평면적인 시각예술이 있다. 입체적인 시각예술에는 도자기, 석탑, 불상 등이 포함된다. 한국의 미술역사는 시각예술에 포함되는 서예, 건축예술에 포함되는 한옥과 궁궐, 문학예술에 포함되는 향가와 시조, 공연예술에 포함되는 탈춤과 판소리 등 관계를 맺으며 발전했다. 이후에 일제강점기 시기에 사진, 서양회화, 영화 등이 국내로 들어오게 되었다. 빼앗긴 나라의 권리를 되찾은 이후 산업화를 거치면서 방송이 시작되었고, 이와 상응하여 비디오아트가 현대미술계에서 시도되었다. 천구백팔십년대 이후부터 인터넷 등의 새로운 기술이 퍼지 시작하면서 미디어아트가 알려지게 되었다.

 

조선의 미술

조선시대 초기에는 선비나 왕실의 초상과 여러 의식을 그려서 경정을 돕는 기록화와 일상생활에서의 감상화의 두가지 측면에서 그림이 발달하게 되었다. 국가에서는 전문 화가를 화원으로 고용으로 도화서에 소속시켜 종육품까지의 벼슬을 주고 그림에 집중하게 했다. 감상을 위한 그림의 소재로는 짐승,대나무,인물,화초, 산수,새 등이 중심을 되었다. 화초 중에서는 국화, 매화, 난초, 모란, 소나무와 같이 향기가 나는 초목이 주된 소재였다. 일반 선비 중에서도 특출난 그림 솜씨를 가진 문인화가가 많았다. 세종 때 강희맹과 강희안 형제는 그 중 가장 유명했다. 특히나 강희안은 맑은 물을 바라보면서 명상에 잠긴 선비의 모습을 그린 '산수인물도'와 같은 명작을 남겼다. 한편 신숙주는 안평대군이 간직한 원나라와 송나라 시대의 그림을 소개하며 그림의 변화과정에 대한 역사를 정리하여 그림에 대한 이해가 높았다. 조선 초기의 그림은 문인화든 화원의 그림이든 선비들의 품위있는 생활철학을 그림에 반영시켰으며, 그림의 스타일이 구성이 간결하고 힘찬 특성을 보여준다. 조선 중기인 십육세기의 그림은 십오세기 그림의 주류를 이룬 안견류의 화풍을 이어받은 이정, 이흥효, 명나라 화풍의 영향을 받아 강한 스타일의 그림을 즐겨 그린 선비화가, 그리고 매화, 대나무, 포도에 재능있는 어몽룡, 이계우, 황집중 등 다양한 추세가 있었다. 이상좌의 아들인 이흥효는 명종 때의 화원으로 산수를 잘 그렸다. 이경윤의 서자인 이징은 인조 때까지 활동했는데 이징 역시 산수화에 재능이 있었다. 이상좌의 손자이며 이흥효의 조카인 이정은 화원집안의 가풍을 이어받아 산수화에 유능했으나 서른살에 단명했다. 조선 말기에는 문화의 모든 분야가 새로이 변화하는 경향에 맞추어 글씨, 건축, 그림 등의 예술 분야에도 새로운 동향이 나타났다. 그림에서는 십칠세기 인조 때에 궁정화원의 중심적 위치에 있었던 이징의 그림이 정교하면서도 형식을 벗어나 자유분방하고 대범한 스타일로 산수와 인물을 그려 새로운 자극을 주었다. 그는 특별히 달마와 같은 신선을 주된 소재로 그렸는데, 이는 십칠세기 초 이단 사상의 유행과 쌍을 이루는 화단의 종파였으며, 명나라 화단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였다. 십칠세기 말 이후에는 청초 남종화가 내려오면서 그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청나라에 반항심을 가진 중국 남방사람들의 남종화가 역시나 반청사상에 베어있어 있던 한양의 문인들에게 호소력을 준 이유였다. 그러나 십팔세기에 들어서면서 남종 문인화를 한민족 특유의 풍속과 자연에 맞추어 동화하는 또 다른 화풍이 일어났다. 

 

고조선 시대의 미술

고조선 시대는 청동기와 철기를 망라한다. 기원전 이천년에서 기원전 삼백년까지 한반도에서 청동기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구리는 구하기 어려운 소재였기 때문에 청동기 물건은 주로 거울, 방울, 동검 등이 다수 발견되었다. 또한 청동기 시대의 사람들은 집단으로 마을을 거주하기 시작했음을 여러 유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청동기 시대의 사람들은 고인돌(dolmen)을 만들고 그 안에 청동기 등의 물건을 묻었다. 청동기 시대의 이러한 전례를 보면 청동기 시대에는 차차 계급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나 비파형 동검은 고조선의 영역이었던 곳에서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서 고조선의 문화권 영역을 예상할 수 있다. 비파형 동검 이외에 돌칼, 붉은간토기, 곡옥 등이 발견되었다. 제사를 지내는 물건을 살펴보면 고조선은 시베리아 지역의 샤머니즘 영향을 받았다. 고조선의 철기시대는 기원전 삼백년 즈음에 시작되었다.

반응형

댓글